ora-14130 오류
http://msutic.blogspot.com/2010/01/ora-14074-when-adding-partition-at.html
ora-14130 unique constraints mismatch in alter table exchange partition
http://msutic.blogspot.com/2010/01/ora-14074-when-adding-partition-at.html
ora-14130 unique constraints mismatch in alter table exchange partition
지금 민주당은 사실상 빈 배나 다름없죠.
손학규도 정동영도 집권가능성은 없습니다. 문재인, 안철수 유시민, 박원순 모두 민주당인물들이 아닙니다.
한나라당은 거의 망조가 들었습니다. 박근혜이후는 암울합니다. MB가 삽질하면서 깔아놓은 절묘한 판입니다. 지금 현 상황은 민주당 들어가서 먹는 사람이 임자입니다.
한나라당 나온 손학규가 배주인을 하고 있는데..
이 배를 구석구석 움직일 사람이 없어서 야권통합에 목을 매고 있고..
서울시장 나와줄 사람이 없어서 박원순을 추대하려고 하고 있죠.
민주당은 안습이지만 철이가 들어가지 않은 태권브이입니다. 민주당 조직이 움직이면 최소 25% 최대 40%를 넘길 수 있는 막강한 조직입니다.
이 조직내에 영혼과 두뇌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은 상태로 이 내부에 진보정당이 장악할 수도, 안철수같은 보수주의자가 장악할수도 있습니다.
한나라당이 MB때문에 내년 총선을 걱정하고, 민주당이 인물난에 허덕이는 이때에 안철수는 윤여준으로선 한국의 모든 좌클릭 움직임, 진보통합+야권통합에 가있는 마이크와 카메라를 빼앗는 신의 한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복지논쟁에서 오세훈사퇴로 피크를 치고 서울시장에서 절정으로 치달았어야 했는데..
곽노현과 안철수로 중도전쟁이 시작됐습니다. 역대 중도전쟁의 확실한 승자는 한나라당이죠.
중도전쟁은 민주당을 우경화 시키고 그때마다 민주당은 중도를 차지하는대신 집토끼를 빼앗겨 고배를 마십니다.
이제 야권통합 장사는 시들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링밖에서 체급이상의 선수들이 계속 들어오는 상황에서 당내 반발은 심해질것이 뻔하죠.
진보신당의 통합거부와 안철수의 등장으로 한국에서 이제 진보정치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질겁니다...
노회찬이나 심성정 같은 사람이 유연성을 획득한다면 10년내에 민주당 당권을 가져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인데 안타깝지요.
저는 안철수씨를 매우 존중하지만 그의 등장이 자칫하면 노통의 죽음의 의미마저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진보의 미래'에 대한 담론을 모두 사라지게 할 첫 수가 되리라는 불길한 예감이 드네요.
안철수는 진보와 보수의 대결을 상식과 비상식으로 바꿔 놓았습니다.
정치인들은 안철수가 일주일만에 바꾼 판에 적응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나 이합집산을 거듭중이 진보정당들은 올해 하반기까지 통합정당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하면 내년에 국민들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입니다.
중도에서 중도좌파를 기웃거리는 민주당은 내년 4월에 공천혁명수준으로 혁신 하지 않으면 내년에 무소속의 약진이라는 참담한 현실과 맞닥뜨리게 될 것입니다.
최근의 북한 상황에 대한 생각 (1) | 2013.04.10 |
---|---|
외할머니의 49제 즈음에.. (0) | 2012.01.26 |
곽노현.. 여론이 검찰을 비판하는 쪽으로 변화하네요 (0) | 2011.08.30 |
노무현 전 대통령 2주기 (0) | 2011.05.23 |
2012년 선거이전 야권통합 전망과 문성근씨의 국민의 명령 (0) | 2011.02.11 |
트위터에서나 여러 게시판이나 매체에서도 검찰은 기소도 되지 않은 사실을 흘리는 일에 대해서 비판하면서교육감이 무려 30억이 넘게 걸린 소송뿐아니라 평생을 지고갈 명예마저 걸려있는 일로 이렇게 혼자 버티는데 판결나올때까지 관망하자는 쪽의 글들이 올라오기 시작하네요.
제 생각엔 법을 전공한 법학교수 곽노현 교육감이 법리적으로나 속에 캥기는게 있으면 검찰의 강아지들이 이렇게 무섭게 공격하고 언론까지 협박하고 같은편인지 알았던 야당선수들까지 사퇴하라며 몰아붙이는 판국에 이렇게 버티진 못할것 같습니다.
블랙스완이란 말이 있죠.
백조라는 말 자체가 큰고니류에서는 흰색이 대부분이기때문에 SWAN이란 말은 (하얀)백조와 같은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검은고니가 발견되면서 SWAN에서 묵시적으로 통용되던 "백"조라는 말은무력화 되었습니다. 세상에는 WHITE SWAN과 BLACK SWAN이 있는것이죠.
잡설이 길었습니다만.. 이세상에 2억을 뇌물용도로만 주는 사람이 있을테지만 정말 선의로 준 사람이 있다면 그게 바로 Black swan이 나타난것이겠죠.
예전에 적은 연봉에 연봉의 반을 기부한다는 사람도 있었구요.
완주하면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있었지만, 사퇴해서 금전적으로 손실을 입은 사람에게 금전적으로 원조를 했다는 논리는 사실 보통사람은 납득하기 힘든 것이죠. 그만큼 이런사람은 희귀하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겠지만 절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이죠.
지금 곽노현 교육감에게 불리한 증거는 익명으로 언론에서 나오지만
유리한 증언은 주변사람이 직접 증언하고 있습니다. 곽노현의 유죄는 검찰이 입증해야 합니다. 각서나 녹취, 선금으로 주었다거나 3자의 결정적인 증언이 필요하죠. 하지만 지금 본인의 자백밖에는 얻어낸 것이 없어보입니다.
오얏밭에서 갓끈을 고쳐매지 말고, 참외밭에서 짚신을 고쳐신지 말라는 속담처럼 곽교육감의 처신은 분명 비판받아야 마땅합니다만, 본인의 무죄를 확신하면서 패가망신에 이를 수 있는 32억짜리 패소를 감내하면서 자리를 지킬정도라면 일단 믿어주는 것이 그래도 그를 교육감으로 뽑아준 사람의 아량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검찰은 빨리 불확실한 정보를 흘리지 말고 기소해서 유죄를 입증해야 할 것입니다.
지지자들끼리 서로 쥐어뜯고 싸우면서 분열하는것은 딴당이 바라는바일것입니다.
야당들도 얼른 선거진용으로 전환해서 분위기를 쇄신해야 할 것이구요.
외할머니의 49제 즈음에.. (0) | 2012.01.26 |
---|---|
'진보의 미래' 위에 덧칠된 '보수의 미래' (0) | 2011.09.05 |
노무현 전 대통령 2주기 (0) | 2011.05.23 |
2012년 선거이전 야권통합 전망과 문성근씨의 국민의 명령 (0) | 2011.02.11 |
체계를 잡는 일 (0) | 2010.12.24 |
아마 내년 봄이나 가을개편때 나가수는 대단한 가수들을 모아놓고 그저그런 나가수풍 편곡 리바이벌만 거듭하다 사라질겁니다. 성공공식이라는거가 사실 없었을때야 이런 공식을 찾아가는 재미지만 매번 거듭하게 되다가 시청자들은 이 프로를 버릴겁니다. 프로듀서가 음악적으로 어떤 지향을 계속 짚어주지 않으면 얼마 못 버티겠네요.
사실 시청자들은 자신이 원하는게 뭔지 모릅니다. 이걸 찾아주는 사람이 대중예술가인데 그냥 지금 있는 인기를 지키려 자기복제를 거듭하다보면 대중은 그 가수를 버리게 되죠.
앞으로 차츰 청중평가단이 나가수를 죽일겁니다. 음악적으로 약간씩이나마 진보해야 하는데 가수는 1위가 목표가 아니라 중위층만을 만족시키고 중위층 관객들은 계속 만족하지만 이 중위층은 이 공연들이 식상해질 수 밖에 없죠.
가수가 자기음악을 하게 해야 하는데 나가수는 그걸 막죠.
지금 PD는 나는 성대다 시즌II를 하겠다는 것으로 보이네요.
나가수는 지금 1박2일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탑밴드와 경쟁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셔야 할겁니다.
신대철씨가 탑밴드에서 한 말을 덧붙입니다.
"백기를 들고 항복할 것인가, 아니면 장렬히 전사할 것인가 "
"당신들이 하고 싶은 음악을 해야 행복해진다니까"
제가 볼땐 지금 나가수에는 장렬하게 전사할 사람이 없네요. 아니 하고 싶은 음악을 고집스럽게 설득할 수 있는 뮤지션이 사라져 가는것 같아요.
아마도 앞으로는 계속 무난한 것들만 남아가겠죠?
이글은 성지가 될겁니다.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7252834
클리앙 2011-08-03 12:15 에 쓴 글.
락스타의 시대 힙스터의 시대 (0) | 2020.12.05 |
---|
미국은 자신의 나라 신용등급을 강등했을까? 이런 정치적 문제는 제끼고 결과만 생각해보자. 나머지는 기대나 희망과 관련된 이야기일테니.
시장을 보는 시각이자 시나리오인대 이대로 흘러가면 1년미만의 원자재 스프레드 투자는 모조리 마이너스. 물을 정신없이 들이키게 될 것이다.
방향성은
달러는 미국으로.
원자재는 숏포지션.
보통 신용등급 하강은 신규발행채권 이자율의 상승과 국채수익률의 하락(기존채권 가격 떨어짐)을 불러오게된다. 즉 나라의 재정을 적자편성화려면 채권을 발행해야 햐는데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위험도가 높아지고 그 금리가 올려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채권을 발행할때 재정부담을 주게된다는 이야기이다. 근데 이게 기축통화국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부채를 갚기위해 그냥 달러윤전기를 돌려대면 된다.
신용등급을 내리면 신규 채권자들에게 지급해야 할 이자율이 올라갈 것이고 기존의 국채수익률은 하락하게 된다. 즉, 기존 국가들이 보유한 채권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미국의 신용등급이 떨어질때마다 미 국채의 가격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자율을 팍팍팍 계속 롤러코스터를 타고 올라가게 되면 신규발행하는 국채의 이자율은 올라게 되어 있다. 두가지 방향성이 있다.
1. 국채를 발행할 여력은 줄게 되어 긴축을 해야한다. 달러 발권력에 한계가 가까워 오기 때문이다.
2. 높아진 불확실성에 미국의 국채가격이 상승하면서 새로 공급되는 채권에 돈이 몰리면서 원자재가격은 오를만하면 미국의 신용등급을 떨구면 된다. 절대 원자재 투기를 할 수 없다. 미국의 달러는 강세가 된다. 참 지랄맞다. 단 금값은 예외일지도
3. 이에 대한 효과로 수요위축과 달러강세로 원자재 가격은 하락한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도국은 미국국채를 더 살 수 밖에 없다.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어떤것을 살 수 있을까? 떨어지는 원자재? 긴축중인 중국채? 유럽의 개망나니들을 다 떠안은 독일국채? 옛날옛적에 맛탱이간 영국국채?
이것은 미국이 S&P를 통해 긴축정책을 실시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미국이 FRB를 통해 금리를 인상한다는 말이 나오면 긴축에 들어간다는 시그널을 주기때문에 이자율이 올라 내수시장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 중간 과정이 아주 개판이 되겠지만. 효과는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즉 한국은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늘어나지만 미국은 환율이 절상되어 강달러로 가면 긴축효과와 물가인하 효과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당분간 물가인하 효과로 미국은 재정적자정책을 효과적으로 만들게 될 수단을 갖게 되었다. 어쩌면 미국이 QE 시즌3을 하지 않고도 내수를 부양할 여력이 생긴것이며 QE3을 할 공간이 생기기도 한 것이다. 꽃놀이패이다.
리먼사태는 리먼이 사고친 돈이 허공에 날아가면서 부실자산의 자산가치가 우량회사채랑 바벨포트폴리오로 편입되었지만 그게 부실화 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신용등급하락이 국가들과 금융기관들이 편입한 미국 국고채가 가치가 폭락하면서 날아간 돈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박살났던 것으로 환원시켜서 해석하면 될 것입니다. 즉 미국 국채문제는 세계 여러국가의 국고와 금융기관들이 보유중인 미국채를 미국이 털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이야 다른나라 보유채권 가격이 쓰레기가 되던 말던 달러화 가격이 오르든 내린던 뭔 상관이랴...
달러채권 보유국가만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요즘 시장 돌아가는거 보다가 정리 (0) | 2015.01.06 |
---|---|
유럽의 금융위기를 보면서.. (0) | 2011.11.30 |
한국은행 최근의 주요국 경제 및 국제금융 · 원자재 시장 동향 (0) | 2009.05.26 |
죽은 돈의 부활-통화량, 담보가치 그리고 부도위험 (0) | 2009.04.08 |
[펌] 우리나라 경상수지-구조 분석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0) | 2009.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