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는 결코 기술만능주의에 빠지면 안된다. 물론 초고성능 울트라 하이테크 최첨단기술은 인류의 편의를 증진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투자자들을 유혹하는 어구는 당신이 인류에 공헌할 수 있다는 점의 대의는 충족시킬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너무나 희박한 확률일 가능성에 주의해야한다. 연간 초기 성장률이 수백퍼센트라며 속삭이느 최신, 고성능 기술은 온갖 대안의 작은 하나의 가능성일 가능성이 다분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기술은 거의 대부분 비싸기 마련이라 양산기술을 찾을때까지 얼마나 더 시간이 걸릴 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항상 더 싼 대체재를 찾으려는 노력이 따라오게 된다. 오 년전쯤 나타났던 초 울트라 하이테크들중에 상품화 된게 몇이나 있는지 보면 알 수 있다. 역사를 보면 최초보다 최적의 제품이 살아남았다는걸 기억해야한다. 투자자가 주목해야할 최첨단 하이테크 울트라 기술을 가진 회사보다 이 기술을 경쟁자보다 싸게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적정기술이다.

 

최근의 예를 들자면 파운드리에서 3나노기술은 첨단기술이고, 후공정기술은 적정기술이다. 미세화기술에서 앞서던 삼성전자는 후공정 기술에 꾸준히 투자한 TSMC에게 밀려버린 것이다.

 

왜 많은 회사들이 선행기술연구소가 있고 제품개발 부서가 따로 존재할까? 첨단기술로 선행 기술 개념연구를 하고, 현재 가능한 기술로 최적화시켜 내놔서 잘 팔려야시장의 인정을 받는 것이다. 두 기능이 합쳐져 있으면 기술 방향이 아사리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만능주의로 엔지니어가 경영을 쥐고 마음대로 흔들다 망한 대표적인 회사가 일본의 전자기업들이다. 세계최고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우리가 최고라서 시장에서 당연히 성공할거라고 생각하던 엔지니어들은 싸게 만드는 기술은 생각지도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전자회사에게 시장을 빼앗겨 버렸다.

반응형

'투자이야기 > 투자에 대한 소소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상과 진실  (0) 2021.06.30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것  (0) 2021.06.26
[펌] 사람보다 상황  (0) 2021.06.10
조급함과 공명심  (0) 2021.06.06
최근에 느낀 점  (0) 2021.06.01
Posted by cocon
반응형
Posted by cocon

사람보다 상황.

에 대한 판단이 대체로 맞았던 것 같다.

어렵지만 잘해내겠지...

대체로 어려운 상황이 결과를 짓누르곤 했다. 흐름을 거스르는 기업을 찾는다지만, 결과의 방향성마저 바꾸는 건 쉽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상황'에 대한 면밀한 판단이 중요하다.

이해가 되는 상황.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 부분을 덮어두고 그저 사람만.. 능력만 본다면..

결과는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화려한 과거를 자랑하더라도, 변화된 상황에서는 힘 한번 써보지 못하고 나가떨어질 수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내 투자실패의 대부분은 훌륭한 경영진이 포진해 있었으나.. 역풍을 맞으며 나가야 했던 기업들이었다. 경영진에 대한 믿음이 강해서 그런 상황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고, 이는 매번 손실을 더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그래서 뛰어난 경영진을 볼 때마다 마음 뺏기지 않으려 노력해본다. 쉽지는 않지만.

그런데..

뛰어난 경영진이 '좋은 상황'을 만나면.. 역시 '상황'이 결과를 주도하지만. 그 결과는

폭발적이 될 수 있다. 상상을 초월하는 결과를 뽑아내곤 한다.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으로.. 진정한 대박은 이런 경우였던 것 같다.

결국 잘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고들 하고, 나 역시 동의하지만. 이 또한 그런 더 큰 기회... 즉 좋은 '상황'을 맞이한 탓이 크다.

가장 위험할 땐.

훌륭한 경영진이 이끌고 있는데.. '상황'이 조금씩 안 좋아질 때. 중간에 어느정도 결과가 나오더라도, 미련때문에 털고 일어서기가 쉽지 않다. 믿었던 만큼 비중도 컸을 터라.. 그런 미련의 댓가는 작지 않을 것이다.

정이 없어 보일 수 있으나 투자에서 리스크를 피하려거든..

'상황'을 보고 '능력'을 봐야한다.

https://www.facebook.com/plugins/post.php?href=https%3A%2F%2Fwww.facebook.com%2Fvaidansniper%2Fposts%2F4183999688325686&show_text=true&width=500

 

Facebook

사람보다 상황. 에 대한 판단이 대체로 맞았던 것 같다. 어렵지만 잘해내겠지... 대체로 어려운 상황이 결과를 짓누르곤 했다. 흐름을 거스르는 기업을 찾는다지만, 결과의 방향성마저 바꾸는 건

www.facebook.com

 

반응형

'투자이야기 > 투자에 대한 소소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것  (0) 2021.06.26
기술만능주의에 빠지면 안되는이유  (0) 2021.06.15
조급함과 공명심  (0) 2021.06.06
최근에 느낀 점  (0) 2021.06.01
짬짜면 이론  (2) 2021.05.29
Posted by cocon
주식시장은 선행하기 때문에 기업의 어닝이 훌륭함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내려앉을 수 있습니다.
시클리컬 종목은 어닝이 하단에서 중간으로 올라올 때 또는 중간에서 호조로 바뀔때 큰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위험한 구간은 이미 훌륭한 지점에서 극적으로 커지는 지점입니다.
이 두 지점 사이 어느순간에 월가에서는 나갈 시점을 생각하게 됩니다.
바로 이익이 감소하는 미래 어느 시점으로요.
희망에 기대 매수하지 마시고 상황이 나아질때까지 기다리세요.
가격이 좋아질때까지, 재고가 줄어들때까지, 고철가격이 나아질때까지
뭔가 확실히 일어나야해요.
실제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 전까지 기다리시는게 낫고
그 변화가 나타나게되면 그때는 크게 갈 겁니다.
시클리컬 종목을 볼때 여러분은 어닝의 드라마틱한 턴어라운드를 기대하죠.근데 그건 2~3년에 걸쳐서 일어나게 됩니다.적자에서 엄청난 흑자로 가는 기간 동안요.그때부터 주가는 오르고 그럼 여러분은 나오면 되는 겁니다.사이클 하강 국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튼튼한 기업을 고르세요.현금흐름이 좋고 부채가 적은 기업을 말합니다.현금흐름이 들쑥날쑥하고 부채가 많으면그런 회사는 하강국면에서 파산할 위험이 높습니다.

 

https://youtu.be/rtz8ZkKNYuA

시클리컬 종목 투자 (피터 린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시클리컬 종목 투자 (피터 린치)

간결하지만 이게 핵심. 주식시장은 선행하기 때문에 기업의 어닝이 훌륭함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내려앉을 ...

blog.naver.com

 

반응형
Posted by cocon

https://dynalist.io/d/tcn3c6sRT4y8y6VhkXSCisPm

오랜동안 좁은 박스권에서 박박기고 있는 회사인데, 좋게보려면 한없이 좋게 보이고, 나쁘게 보려면 한없이 나쁘게 보이는 희한한 회사이다. 스터디 모임 의무발표도 있고 회사 분석하는 재미는 있는 회사라 한번 정리해봤다.

 

 

아이센스 - Dynalist

 

dynalist.io

 

반응형
Posted by co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