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이 통증을 만든다.

(돈버는 것이 괴로움을 만들 수 있다)

동물 실험에서 상자에 바나나를 넣어 두고 상자를 열면 바나나가 나온다는 학습을 시킨 원숭이에게 바나나 대신 질이 떨어지는 상추 잎을 넣어두고 뇌를 연구했다. 바나나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가 실망한 원숭이의 뇌는 놀랍게도 통증 반응을 일으키는 뇌 부위가 활성화되었다. 즉, 전기 충격과 같은 물리적인 통증이 가해질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가 바나나라는 기대가 상추 잎이라는 현실과의 차이로 발생하는 실망으로 활성화되었다. (Papinia, Fuchsb & Torresc, 2015)

즉, 보상에 대한 기대가 실망이 되면 곧 통증, 괴로움이다. 즐거움과 쾌감의 원천인 도파민은 기대를 형성하여 행동의 동기를 만들지만 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devaluation), 기대했던 결과가 없을 때(omission) 우리는 실망이라는 통증(괴로움)을 일으킨다.

이것은 돈을 버는 데 목적을 두는 것이 곧 고통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돈은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화폐로 교환하는 화폐 경제 내에서 필요한 것을 얻고, 위험한 것을 피하는 수단이 돈이 되지만, 돈이 이런 기본적인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지 단지 돈의 금액을 키우는데 목적을 두는 것이라면 그것은 기대를 만들고 고통을 만드는 과정이다.

사실 삶에 그렇게 많은 돈이 필요하지 않다. 이건희 회장은 많은 돈을 벌었지만 정작 그가 자신을 위해 쓴 돈은 많지 않다. 아마도 늘어나는 돈 보다는 그 돈을 버는 과정에서의 자기 실현에서 그 대가를 찾았을 것이다.

주식투자는 미래의 여유로운 삶을 위한 준비 과정이 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보다 결과를 예측 가능하게 하는 투자 방법으로 리스크를 충분하게 분산하면서 수익률이 높지 않더라도 확실하게 미래를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 즉, 현재 수익이 높지 않더라도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꾸준히 자금이 증가할 때, 그래서 향후 생활에 필요한 자금 이상이 유지된다고 믿을 때 그것은 삶은 안정시키고 행복을 유지하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투자가 불확실성을 기반으로 큰 수익을 겨냥할 때, 그런 투자는 수익에 따라 일시적인 쾌감을 줄 수 있지만, 불확실성에 기반한 기대와 현실의 차이는 통증(괴로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버는 돈의 액수와 무관하게 돈을 벌수록 괴로움이 증가할 수 있다.

Papinia, A.R., Fuchsb, P.N., & Torresc, C. (2015). Behavioral neuroscience of psychological pain.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48, 53-69

 

https://www.facebook.com/plugins/post.php?href=https%3A%2F%2Fwww.facebook.com%2Fjurasicj%2Fposts%2F4186281954762933&show_text=true&width=500 

 

Facebook

즐거움이 통증을 만든다. (돈버는 것이 괴로움을 만들 수 있다) 동물 실험에서 상자에 바나나를 넣어 두고 상자를 열면 바나나가 나온다는 학습을 시킨 원숭이에게 바나나 대신 질이 떨어지는

www.facebook.com

 

반응형
Posted by cocon

'올해는 철강 관련주가 상승했다. 다음은 무엇이 올까?'라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추세나 다음 테마에 신경 쓰여 견딜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시세 추종형' 투자로 장기 투자의 리듬을 무너뜨린다. 장기 투자자는 시세나 테마를 무시해도 상관없다. 오하려 장기 투자자에게는 '자기가 추구하고 싶은 테마'를 발견하고 거기에서 벗어나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스로 '바로 이것'이라고 점찍은 종목을 많이 사놓고 지긋이 가격이 오르기를 기다리면 되는 것이다.

− 사와카미 아쓰토 《10년 보유할 주식을 찾아라》

반응형
Posted by cocon

"투자 못 하는 법은 딱 한 가지예요." - 토스 My Money Story (toss.im)

요즘 투자의 화두는 "어떻게 확신을 얻을 수 있나?"이다.

그런데 그러지 못한 이유는? 100%, 200%로 올라갈 주식에 돈을 많이 넣지 못해서예요. 확신의 수준이 낮거든요. 직장인이라면 고작 1년 연봉 정도를 넣을 수 있겠죠. 왜냐하면 그 돈을 다 잃었을 때 2~3년 안에는 갚을 수 있는 금액이어야 하니까요. 
전업투자자로 나선 것도 확신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예요. 스포츠에 비유하면 쉬워요. 다른 직업이 있는 상황에서 퇴근 후 훈련만으로 NBA 스타가 될 수 있을까요? 
 

투자를 못 하는 법은 딱 한 가지예요

토스 My Money Story 시리즈 4편 - 전업투자자 황준호의 머니 스토리

blog.toss.im

 

반응형
Posted by cocon

버핏은 증권분석 리포트 가운데 기업 주인의 관점에서 정확하고 예리하게 분석한 것은 매우 적다고 말한다. 예컨대 "왜 지금 이 사업에 자금을 투입하려고 하는가, 그리고 이 사업에서 자금을 거두어들일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관점이다. 또한 증권회사가 내고 있는 기업 리포트 중에는 개인 기업에 고용된 경영자가 주인에게 보고할 때에 보여주는 자세로서 분석한 것은 아직 본 적이 없다. 어쨌든 "읽을 가치가 있는 리포트는 거의 없다"라고 단언하고 있다.

− 존 트레인 《주식투자로 성공한 현대의 영웅들》

반응형
Posted by cocon

https://blog.naver.com/higgack/222195517216

어려울 때 실력이 나온다. 이 리포트는 2019년 3월에 나온 리포트인데 지금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추가한다.

불황에서의 실력은 마진이라고 한다. 마진이 높은 기업이 가장 늦게까지 살아남을 수 있고 업황이 턴했을 때에 가장 먼저 이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전략] 베팅의 기술+어려울 때 실력이 나온다|작성자 higgack

 

[전략] 베팅의 기술+어려울 때 실력이 나온다

많이 알면 많이 벌 수 있는 것인가? 주식을 하다보면 많이 안다는 것이 수익, 아니 수익률과 정비례하지 않...

blog.naver.com

 

반응형
Posted by co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