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611건

  1. 2020.07.15 피터린치 ‘이기는 투자’에서.. by cocon
  2. 2020.07.13 무엇을 위함인가 by cocon
  3. 2020.07.12 정치인의 정치적 선택, 경제적 선택 by cocon
  4. 2020.07.11 ‘에고라는 이름의 적’에서.. by cocon
  5. 2020.07.11 투자에서 겸손함의 중요성 by cocon

나는 현재 그려진 큰 그림에 의심이나 절망감이 생길 때마다 더 큰 그림에 초점을 맞추려 노력한다. 주식에 대한 신념을 꾸준히 유지하고 싶다면 더 큰 그림을 그려볼 필요가 있다.

피터린치<이기는 투자> 77P

나는 어떤 주식을 선택한 이유를 끊임없이 찾으며 나 자신을 방어하기하기보다는 지금 갖고 있는 주식보다 더 좋은 주식을 찾아다니는 공격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내가 산 주식이 예상과 달리 수익률이 좋지 않을 때 그 주식을 계속 갖고 있어야 하는 새로운 이유를 찾아내려고 고심하지 않았다. (사실 월스트리트의 많은 전문가들이 아직도 새로운 변명거리를 고안해내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고 있다.) 반대로 나는 지금 갖고 있는 주식보다 더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해 더 좋은 투자기회를 찾으려 노력했다.
-피터린치 이기는 투자 p153

반응형
Posted by cocon

한 수좌가 도원스님에게 물었다.
"어록을 읽는 것은 결국 무엇을 위해서인가?"
"옛 선사들의 언행을 알기 위해서 입니다"
"그것을 알아서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고국에 들어가서 사람들을 교화하기 위해서 입니다."
"무엇을 위해서 사람들을 교화한다는 말인가?"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결국 무엇을 위해서인가?"

100문 100답 선불교 강좌편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83

반응형
Posted by cocon

복잡 적응계(Comples Adaptive  System) 개념도


몇 주간 올해의 실패를 복기하려 노력했다.
정말 몇 년만에 서양식 태극팔괘도인 CAS(Comples Adaptive System)그림을 구글에서 찾아서 한참 들여다 보았다.
정치인들은 경제적인 선택과 정치적 선택이라는 두 개의 판단 근거가 있으며, 교양있는 선진국 대중은 상당히 많은 경우 경제적으로 합리적 선택을 할 것이라는 기대로 자신들이 뽑은 지도자를 바라보게 된다.
나는 정치인들이 정치적인 결정으로 경제적인 결정을 뒤흔들 수 있으며 이런 권한을 유권자들이 부여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었다. 문재인대통령과 김정은위원장과 시진핑주석과 트럼프 대통령 모두 자신들의 지지자의 여망과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호랑이 등에 올라탄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시장이 효율적이고 개념이 강물처럼 넘쳐나는 아름다운 곳일 거라는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서구 정치인들의 정치적 결정이 이미 안정화된 닫힌 계 안에서 대체로 전례에 따를 것이라는 보수적인 가정을 한 것도 안일했으며, 이런 시스템이 혼란과 불확실성으로 뒤바뀌는 시점에서 움직이지 못했다는 것이 새삼 뼈아프게 느껴졌다. 경제적 판단에도 얼마나 역사적인 통찰이 중요한지 대해서 새삼 깨닫는다.

미중무역전쟁이 시작되던
2018년 8월 메모..

반응형
Posted by cocon

역사에 등장하는 위인들은 자기 힘으로 세상을 바꿔보려는, 다분히 집요하고 몽상적인 천재들뿐인것 같지만,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면 인생의 전환점을 만날 때마다 자신의 에고와 싸우며 스포트라이트를 피했던 개인들, 그리고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다는 욕망보다 더 높은 가치에 자기 목표를 두었던 이들에 의해서 역사는 이뤄어져왔다.

[에고라는 이름의 적-라이언 홀리데이 20p]

반응형
Posted by cocon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지식보다는 겸손함, 그 태도 같다.
돈은 내가 버는게 아니고 시장이 벌어주는 것이고, 나는 상황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늘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균형을 맞추려 노력해야 하고, 늘 자신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해가면서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이다.
자기 주장을 강하게 하는 투자자들을 경험많은 투자자들은 무의식적으로 회피하는 사람이 많다. 이런 투자자들과 논쟁하다보면 자기강화가 일어나서 자기 포지션을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자기강화가 잘못된 방향으로 작동하면 좋은 기회를 놓치거나 이미 깨진 투자안에서 철수하지 못하고 손실을 입는 경우가 생긴다.

반응형

'투자이야기 > 투자에 대한 소소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지 않는 법을 읽으며 메모  (0) 2020.07.18
정치인의 정치적 선택, 경제적 선택  (0) 2020.07.12
스트레스 분류법  (0) 2020.07.09
예언자의 역설  (0) 2020.06.27
수용의 3단계  (0) 2020.06.10
Posted by co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