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해자 추세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취미생활/책이야기 :
2020. 10. 30. 22:00
- 1단계:해당 기업의 해자 원천을 파악, 이를 위해 다음의 질문을 하고 변화가 발생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2단계-일반적이고 양적인 추세와 관련된 질문
- 해당 기업이 해당 산업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이 상승 중인가, 하락중인가?
- 경기주기 평균 영업이이귤이 현재 수준보다 높은가? 낮은가?
- 한계 투하자본수익률이 현재 수준보다 현저히 높은가, 낮은가?
- 전체 산업의 이익에서 해당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가, 감소하고 있는가?
- 해당 기업 제품의 기격추세는 어떠한가?
- 해당 기업이 직면한 큰 기회와 위협은 무엇인가? 해당 기업이 보유한 기존의 우위를 새로운 제품 범주나 시자응로까지 확대할 기회가 있는가? 반대로 시장에 다한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있어 신규 진입자들이 해당 기업에 타격을 줄 위험이 있는가?
- 3단계-해자 원천별 질적인 추세 관련 질문
- 비용우위
- 공급업체의 가격협상력이 강화되고 있는가? 해당 기업이 공급업체가 청구하는 비용을 시의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가?
- 한 기업의 비용구조 추세가 향후 경쟁자 및 해당 산업과 다른 이유는? 그렇게 다른 이유가 그 기업만의 독특한 현상인가?
- 해당 기업 제품의 가격/가치 방적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컨데 해당 기업 제품의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대체재나 보완재가 있는가?
- 네트워크 효과
- 각각의 이용자(고객)가 해당 네트워크나 시장과 어느 정도 연계되어 있는가? 연계 정도가 증대되고 있나? 하락하고 있나?
- 고객이 다른 네트워크에 들어가서 유사한 혜택을 얻을 수 있는가? 아니면 해당 시장이 단일 시장이 독식하는 시장인가? 경쟁자들이 자체 네트워크 구축을 시작했는가?
- 해당 기업이 자신의 네트워크에 부가되는 각각의 추가 접점을 어떻게 획득하고 있는가? 이용자들이 중개자를 배제하고 서로 직접 연합하여 해당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가?
- 전환비용
- 기술 발전이 해당 산업에 타격을 주고 산업전체의 전환비용을 낮추고 있는가?
- 계약기간이 길어지고 있나, 짧아지고 있나?
- 해당 기업의 제품이 특정 용도에 어떻게 고객 맞춤화되어 있는가? 해당 산업에서 고객 맞춤화 수준이 증가하고 있는가 혹은 감소하고 있는가?
- 무형자산
- 해당 기업 브랜드를 소비하기 위해 기꺼이 가까이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는가, 감소하고 있는가? 만약 그 브랜드가 명성, 사회적 평판 혹은 다른 감정적 유대에 관련된 것이라면 그 브랜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나, 작아지고 있나?
- 해당 기업의 무형자산에 기반한 해자 추세가 특허권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면, 그 특허권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하기가 얼마나 쉬운가? 연간 특허 획득, 개발한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 이용 고객 혹은 전체적인 의약품 허가율 측면에서 연구개발 생산성 추세는 어떠한가?
- 해당산업이 학습곡선 효과(Learning-corve benefit:경험, 학습 생산이 증가하면서 비용이 낮앚지는 효과)가 있는 산업인가?
- 효율적 규모
- 해당 기업과 규제당국의 관계는 어떠한가?
- 새로운 기술과 시장의 출현 혹은 다른 상황의 전개로 인해 규제당국이 기존 규제의 잔재와 기정들을 재고하고 있지는 않은가?
- 해당 시장의 성장률 전망으로 볼 때, 시간이 감에 따라 신규 진입자가 보다 확대된 시장에 진입하기가 쉬워지는가, 아니면 더 어려워지는가?
- 비용우위
경제적 해자 실전 주식투자법, 해더 브릴리언트, 111p
반응형
'취미생활 >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만장자 습관 역자서문 중에서.. (1) | 2020.12.26 |
---|---|
얼마만큼의 리서치와 분석이면 충분한가? (0) | 2020.11.07 |
투자의 미래 중에서(1) (0) | 2020.07.28 |
워렌버핏 집중투자 중에서 (0) | 2020.07.24 |
공병우 자서전 '나는 내 식대로 살았다'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