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
사는 이야기/생각-이삭줍기 :
2024. 10. 25. 04:18
직관은 추상화 능력과 깊이 연결되어 있고, 특히 시각적, 수학적 정보를 범주화하고 패턴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추상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학 문제를 많이 풀거나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논리적인 사고를 훈련하게 되면 복잡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됩니다. 이는 구조적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반면, 예술, 특히 문학을 통해 언어를 통한 감각적이고 은유적인 사고를 익히는 것은 직관적인 사고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시는 감정과 추상적인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글쓰기를 활발히 하면 직관을 자연스럽게 강화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글을 읽고 회고하는 능력을 통해 경험으로 쌓인 논리가 구조화 되고 추상화되면서 직관이 길러지게 됩니다. 논리적 사고와는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게 됩니다.
직관이 길러지기 위해서 과학적 사고를 통해 벽돌 한개를 잘 만들어내고 이것을 기록하고 복기하면서 직관과 사고력이 붙게 됩니다.
반응형
'사는 이야기 > 생각-이삭줍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2기 정부와 미국의 글로벌 패권 전략: AI, 에너지, 군사력, 지정학적 변화와 동맹 체제 재편(with chatGPT) (9) | 2024.11.07 |
---|---|
과학철학과 투자철학, 복잡계 과학의 상호 영향에 대한 심층적 고찰(with chatGPT) (10) | 2024.10.30 |
"한강"님의 노벨상 문학상 수상! (11) | 2024.10.12 |
제578돌 한글날을 축하하며 (3) | 2024.10.09 |
성장한다는 것은 불안정과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것이다 (3)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