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연구소 원문을 기초로 트럼프 행정부 1기 정책 요약, 2기 정책효과 예상 (with chatGPT)
투자이야기/경제이야기 :
2024. 7. 15. 05:29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이며, 20개의 원칙을 담은 서문(Preamble)과 주요 정책 방향을 소개하는 10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우선주의: 상식으로의 목귀(America First: A Return to Common Sense)’라는 제목의 서문에는 >▲국경 봉쇄 및 이민자 침공 차단,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추방 작전 수행, >▲인플레이션 종식, >▲지배적 에너지 생산국으로의 전환, >▲아웃소싱 금지 및 제조 강국으로의 전환, >▲3차 세계대전 방지, 유럽과 중동 평화 회복 및 미국산 아이언돔 미사일 방어체제 구축, >▲군사력 강화 및 군 현대화, >▲전기차 의무화 취소 및 규제 완화, >▲친(親)하마스 급진주의자 추방 등 20개의 원칙(premises)이 포함되었다
외교안보연구소 '미국우선 대외정책 2.0의 주요 내용 및 함의-민정훈(2024)
1. 트럼프 행정부 1기(2017-2021)의 정책과 경제적 효과
거래중심적 동맹관
-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에게 방위비 분담금을 더 많이 부담하도록 요구함. 이는 한국의 국방 예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방위비 분담 협상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 증가를 초래.
대중국 견제정책
- 중국산 수입품 관세 부과: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부과 정책은 미국 내 중국산 제품 가격을 인상시키고,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대신해 미국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제공했음.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 갈등이 한국 기업들에게도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탈중국화를 촉진했음.
- 무역수지 적자 감소 시도: 트럼프는 대중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한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시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음. 한국의 대중 및 대미 무역에도 영향을 미침.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수출 경로를 다변화하고 생산 기지를 재배치하는 등의 대응 전략을 도모하게 되었으며 중국에 편중된 회사들의 사업전략을 수정하게 하는 계기가 됨
미국 우선 에너지 정책
- 셰일 오일과 가스 개발: 미국의 셰일 오일과 가스 개발로 에너지 가격이 하락. 인플레이션 완화에 도움이 되었음
2. 트럼프 행정부 2기(예상, 2024 이후)의 정책과 경제적 효과
통상 정책
- 공정 무역과 USMCA, 한미 FTA 재협상: 트럼프 행정부가 NAFTA를 USMCA로 대체하고 한미 FTA를 재협상함으로써,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무역 규정에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아짐,
- 관세 시스템 개편: 외국 기업에 대한 관세를 강화하는 정책은 한국의 대미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임. 이 정책은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임. 새로운 보편적인 기준 관세 시스템 도입으로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생산 시설을 확충하거나,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경로를 재조정 하게 할 강력한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대중 정책
- 경제적 독립과 4개년 리쇼어링 계획: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으로부터 경제적 독립을 추구하고 미국 내 생산을 강화하는 리쇼어링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충하거나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기회를 가지게 됨. 특히, 필수 의약품 생산을 미국으로 되돌리는 정책은 한국의 제약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최혜국대우 철회: 중국의 최혜국대우 철회로 인해 미국과 중국 간 무역이 더욱 경색될 경우, 한국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음. 하지만, 이는 동시에 한국이 중국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을 관리해야 하는 과제를 의미함.
에너지 및 기후 변화 정책
- 에너지 자원 생산 확대를 통한 인플레 완화: 트럼프 행정부가 국내 에너지 자원 생산을 확대함에 따라, OPEC의 가격 결정능력을 떨어뜨려 에너지 가격이 안정되거나 하락시킬 가능성이 있음. 에너지 가격 안정으로 한국의 무역수지가 개선될 가능성 높음
- 화석연료 및 친환경 에너지 투자: 화석연료와 친환경 에너지 모두에 투자함으로써, 한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다양한 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음. 특히,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음.
- 그린 뉴딜 제거 및 파리 협약 탈퇴: 그린 뉴딜을 제거하고 파리 협약에서 탈퇴하는 정책은 한국의 친환경 정책과 상충될 수 있으나, 이는 동시에 한국이 친환경 기술과 제품을 미국 시장에 수출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규제를 완화하고 화석 연료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됨.
추가적인 한국에의 시사점
- 정치 안보와 경제의 연계성 증대: 트럼프 행정부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로 인해 정치와 안보와 경제가 밀접하게 연계되어 기존의 경제논리로 움직이던 세계질서와 무역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했음, 이는 한국이 국방비 증액과 경제적 부담을 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됨.
- 국제 협력과 동맹 강화: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동맹국의 역할 증대는 한국이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자국의 안보와 경제를 지키기 위한 자주적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 경제적 불확실성 관리: 미중 무역 전쟁과 같은 국제적 경제 갈등 속에서 한국은 무역 경로를 다변화하고, 리쇼어링 등을 통해 생산 기지를 다변화함으로써 경제적 불확실성을 관리해야 함.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우선 대외정책’은 한국에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초래하였음. 트럼프 2기에도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와 대중국 견제정책은 더 세부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될 것임. 이는 앞으로 한국의 국방 예산과 무역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며, 기회와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것,
에너지 및 기후 변화 정책은 에너지 가격 안정과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증대시킴. 한국은 이러한 정책 변화에 대응하여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
참고자료
https://www.inss.re.kr/upload/bbs/BBSA05/202010/F10520.pdf
반응형
'투자이야기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한 생각 (0) | 2023.11.05 |
---|---|
인플레이션 전이단계 메모 (0) | 2022.02.22 |
하상주님의 칼럼 '혼돈의 40년 종말: 재정적자/부채/통화량/금융자산 증가, 낮은 금리/물가' (0) | 2022.02.10 |
2021년 가을,시장을 보는 생각 (0) | 2021.11.04 |
이연된 경기호황, 스태그플레이션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