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삶의 시간이 문제를 일으키고 문제를 해결하면서 흘러간다.
무언가 준비하고 닥치면 준비한대로 흘러가지 않아서, 준비하지 않으면 뻔한 곳에서 당하기도 한다.

투자는 외부요인으로 오르는 회사가 있고, 내부요인(경쟁력, 시장적응력이 세지는시기에 올라탈 수 있는시기)으로 올라가는 회사가 있는데 전자는  이코노미스트, 후자는 펀더멘탈리스트가 됩니다. 이코노미스트의 투자가 힘든게 경제상황에 적응해서 경제 방향성을 거꾸로 가는 회사들과 정책방향이 계속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시류를 잘 따라가는 우수한 회사를 발굴할 수 있다면 많은 종목의 투자가 필요한것도 아닙니다.
단지 내 선택이 옳다는것이 밝혀질때까지 많은 의심과 회의를 하게 되고 실패할때의 타격역시 클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없다는 제약때문에 한 종목 집중투자는 위험해 보입니다.

회사의 사업이 실패/성공했을때의 크기를 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 사업의 성공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하다가 내 시야에 들어왔을때 비중을 높이는게 가장 최적의 방법인것 같았습니다.

먼저 이 회사가 왜 싸져있고 왜 외면받고 인정받지 못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게 필요하고, 제 스스로 그것과 반대의견을 가지고 내 의견이 맞다는게 증명될때까지 포지션을 들고 버텨야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거기에 내 의견이 틀린것으로 판명되더라도 크게 다치지 않아야 할 것이라는 조건이 붙고 지속적으로 투자가 뒤로가지 않으면 결국엔 복리로 자산을 불려나갈 수 있겠죠.

주가는 하나의 의견일 뿐입니다.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투자는 시작됩니다.
이것을 확인하고 내 의견이 맞는걸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거나, 심지어 누구도 이 것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을경우, 비대칭적으로 정보가 퍼지지 못한 상태로 주가만 많이 오른주식을 따라다니면 많은 손실을 감당해야 할 수 있습니다.

아는 형님왈.. 이게 이정도로 딱 맞는다는 정밀성보다 말이된다는 개연성이 투자시장에서는 더 먹힌다고 합니다. 이게 반박당할때까지 주가의방향성이 움직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런 경향을 과도하게 이용하게 되면 본말이 뒤집히게 됩니다. 모멘텀이 본질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개연성이 실질적인 매출과 이익으로 회사의 재무제표에 찍히지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태로 떠 있게 됩니다.

개연성이라는것은 장기적으로 맞는 방향성입니다. 방향이 맞다고 판단디는 상황에서 조금씩 확률이 올라가는 회사를 관찰하고 확률에 맞게 비중을 싣는 것입니다.

[수치해석] 정밀성, 정확성 (tistory.com)

 

투자자는 대략 3가지 국면에서  회색구간을 지나야 합니다. 
1.망하냐 안망하냐
2.지금수준에서 성장할 수 있느냐 쇠퇴하느냐
3.지금 보여준 성장률 이상을 지속적으로 얼마정도 유지할 수 있느냐?

오래 길게 보려면 되도록 싸게 사야하고, 시장이 확대되는 곳에서 움직일수록 유리하고 그 방향성에서 가장 잘하는 회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시장이 확대되어 너무 커지는데 병목현상이 발생한다면 기존이 이 산업에 발을 담그고 있는 회사를 사면 크게 실패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http://[수치해석] 정밀성, 정확성 (tistory.com)

 

반응형
Posted by cocon